휴식의허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휴식의 허가_시간잊기 휴식 기간이 길어지면서 새삼 느끼는 것이 하나 있다. 날짜의 개념이 무감각 해진다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지금까지의 생활을 날짜와 요일에 맞춰서, 그에 쫓기면서 살아왔구나 하는 깨달음이라는게 정확하겠다. 시간에게서 자유로워짐을 느끼는 것이 이렇게 여유로운 것이구나 새삼 느끼고 있다. 우선 요일의 개념이 많이 사라지고 있다. 오늘이 월요일인지, 수요일인지, 아니면 불금인지 그닥 신경쓰이지 않는다. 기독교를 다니는 신자도 아니고 주말드라마를 기다리는 편도 아닌지라 요일의 개념이 많이 모호해진다. 사실 오늘도 노트북의 날짜를 보고 금요일인걸 처음 알았다. 수요일 정도 되지 않았을까 생각했는데... (뭐.. 다시 말하면 공부에서 손을 놓은지 벌써 일주일이 되어가고 있다는 소리이기도 하다) 날짜 개념을 잊은 김.. 더보기 휴식의 허가_언제까지 쉴 수 있을까 학창 시절의 휴학과 사회인으로서의 휴식은 느낌이 많이 다르다. 휴학은 시간의 단위를 학기, 년으로 표현한다. '달'로 표현하지 않는다. 이와 다르게 퇴사를 한 후의 휴식은 쉬는 기간을 달, 년으로 말한다. 그만큼 쉴 수 있는 기간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정해져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유가 있으면 책임도 따르는 법. 그 책임은 카드값, 혹은 통장잔고라는 수치로 돌아온다. 대부분 돈이 떨어질 때 즈음 구직을 시작하거나 미리 입사 시기를 그 때로 정하기도 한다. 매우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최고의 백수는 갈 곳이 있는 백수이지 않은가. 그런데 갈 곳이 없이 당장 도피성으로 휴식을 선택한 것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 나는 얼마나 쉴 수 있는 것일까. 아니, 언제까지 쉬어야 맞는 것일까 흔.. 더보기 이전 1 다음